우분투로 이것 저것 재미있게 놀았다. 리눅스 데스크탑도 쓸만한 것 같다. 서버에서도 우분투를 쓰는게 좋을까? 지난번에 서버에도 우분투 쓰기로 작정했었는데..
다음주에 IDC에 서버가 새로 들어와서 가져갈 씨디를 고르다가, 갑자기 고민이 돼서, 이것저것 둘러보고, 테스트 설치도 다시 해보는 중이다.
가장 중요한 문서는 우분투쪽에서 데비안과 자기들과의 관계를 설명한 글. 관계가 나쁘다 좋다, 그런게 아니라, (당근 좋다.. 고 쓰여있다.)
* 자기들이 새 버전을 만들기 시작할 때 데비안의 "stable" 이 아닌,
"development"버전에서 시작한다는 이야기가 눈에 걸렸다.
* 그 다음에는 6개월마다 새버전을 내놓는다는 이야기. (그럴필요는 없잖아?)
* 하지만 우분투에도 LTS 버전이 있다.
우분투 LTS 서버버전은 5년간 지원된다. 그러니까, "8.04는 2013년까지 지원"이라고 쓰여있다. 그럼 2013년이후에는?
이게 처음봤을 때부터 궁금했는데, 위키백과에 따르면, 메인 서버에서도 삭제될꺼라고 한다. 엉? 그럼 어쩌라고? 역시 데비안이군.. 이라고 중얼거리면서 데비안쪽을 뒤져봤다. 뒤져본 결과...
2002년에 나온 데비안우디..는 2006년에 보안패치까지도 중단된 상태다. (http://www.debian.org/releases/woody/) 데비안도 마찬가지네.
어차피 이쪽은 업그레이드 하면서 쓰는거니까...
우분투는 7.10 LTS에서 8.04 LTS로 업그레이드하다가 문제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긴한데... 데비안에서도 full-upgrade에서는 가끔 깨진다는 보고도있고... 마찬가지인 것 같다.
처음에 우분투를 선택했던 이유는. 나같은 초보 관리자가 우분투를 선택하기 더 쉬울꺼고, 그럼 더 많은 아티클이 나올꺼고, 막힐때 찾아볼 자원이 늘어날꺼라는 생각이었다. 이건 아직도 유효한것 같은데..
아.. 귀찮아. 그냥 구워놓은 우분투 8.04 LTS들고 갈까..
====
추가 참고 포스트 : http://hostingfu.com/article/keeping-your-php-fastcgi-processes-alive
다음주에 IDC에 서버가 새로 들어와서 가져갈 씨디를 고르다가, 갑자기 고민이 돼서, 이것저것 둘러보고, 테스트 설치도 다시 해보는 중이다.
가장 중요한 문서는 우분투쪽에서 데비안과 자기들과의 관계를 설명한 글. 관계가 나쁘다 좋다, 그런게 아니라, (당근 좋다.. 고 쓰여있다.)
* 자기들이 새 버전을 만들기 시작할 때 데비안의 "stable" 이 아닌,
"development"버전에서 시작한다는 이야기가 눈에 걸렸다.
* 그 다음에는 6개월마다 새버전을 내놓는다는 이야기. (그럴필요는 없잖아?)
* 하지만 우분투에도 LTS 버전이 있다.
우분투 LTS 서버버전은 5년간 지원된다. 그러니까, "8.04는 2013년까지 지원"이라고 쓰여있다. 그럼 2013년이후에는?
이게 처음봤을 때부터 궁금했는데, 위키백과에 따르면, 메인 서버에서도 삭제될꺼라고 한다. 엉? 그럼 어쩌라고? 역시 데비안이군.. 이라고 중얼거리면서 데비안쪽을 뒤져봤다. 뒤져본 결과...
2002년에 나온 데비안우디..는 2006년에 보안패치까지도 중단된 상태다. (http://www.debian.org/releases/woody/) 데비안도 마찬가지네.
어차피 이쪽은 업그레이드 하면서 쓰는거니까...
우분투는 7.10 LTS에서 8.04 LTS로 업그레이드하다가 문제가 있었다는 보고가 있긴한데... 데비안에서도 full-upgrade에서는 가끔 깨진다는 보고도있고... 마찬가지인 것 같다.
처음에 우분투를 선택했던 이유는. 나같은 초보 관리자가 우분투를 선택하기 더 쉬울꺼고, 그럼 더 많은 아티클이 나올꺼고, 막힐때 찾아볼 자원이 늘어날꺼라는 생각이었다. 이건 아직도 유효한것 같은데..
아.. 귀찮아. 그냥 구워놓은 우분투 8.04 LTS들고 갈까..
====
추가 참고 포스트 : http://hostingfu.com/article/keeping-your-php-fastcgi-processes-alive